본문 바로가기
도날드의 세금 이야기

임대사업자 보증금, 수입금액 포함될까? 정확한 계산법!

by 도날드닭꼬치 2025. 2. 25.
반응형

1. 간주임대료란?

간주임대료란 일정 금액 이상의 보증금을 받은 경우, 이를 임대소득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부과하는 개념입니다.

  • 주택 임대사업자의 경우 3주택 이상 보유 시 적용됩니다.
  • 비주택(상가 등) 임대사업자는 보증금 합계 3억 원 초과 시 적용됩니다.

2. 간주임대료 계산 방법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보증금 × 정기예금이자율 × (임대일수 / 365)

예를 들어, 보증금 5억 원을 받은 경우 이자율 2.5% 적용 시:

5억 × 2.5% × (365 / 365) = 1,250만 원

이 금액이 수입금액에 포함됩니다.

3. 보증금이 수입금액에 포함될까?

  • 3주택 미만의 주택임대사업자는 보증금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 비주택(상가, 오피스텔) 임대사업자는 보증금 3억 초과 시 간주임대료로 포함됩니다.

4. 세금 신고 시 유의점

  • 간주임대료가 발생하는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시 반영해야 합니다.
  • 홈택스에서 자동 계산 기능을 활용하면 편리합니다.
  • 신고 누락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마무리

임대사업자의 보증금은 임대 유형과 보증금 규모에 따라 수입금액 포함 여부가 달라집니다.

정확한 신고를 위해 홈택스 자동 계산 기능을 활용하고, 필요 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